formulous

주니어 개발자의 개발 지식 공유 블로그입니다.

728x90

NestJS 3

[NestJS] Worker Thread를 사용해봅시다.

안녕하세요 formulous입니다. 이번에 제가 구성한 NestJS 서버가  TIME_OUT 응답을 종종 주더라구요. 원인을 찾아보니, NestJS의 메인 스레드가 대용량의 데이터 작업으로 인해 다른 요청을 수신할 수 없는 상태라는 것을 발견하게 되었어요. 이처럼 NestJS의 근간이 되는 Nodejs는 싱글 스레드로 실행되기 때문에, 대용량의 작업을 실행 중이라면 다른 작업을 동시에 진행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어요. 하지만 늘 그렇듯 해결법은 존재합니다.   그 방법은 바로 워커 스레드(Worker Thread)라는 것인데요. 오늘은 대용량 작업에 의한 싱글스레드 블로킹을 방지할 수 있는 워커 스레드(Worker Thread)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워커 스레드를 사용하기 전 개념과 사용하는 이유..

NestJS 2025.02.07

[nestjs] module에서 선언하는 provider, 대체 뭘까요?

안녕하세요. 오늘은 저 포함 많은 분들이 정확한 개념을 가지고 있지 않은 채로 사용하고 있는 provider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업무 중에 있었던 일입니다. 어떤 스크립트에서든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든 utils에 포함된 sqliteUtil 클래스를 provider에 선언해주고 의존성 주입을 통해 사용한 적이 있었는데요. 그때 당시 코드 리뷰에서 온 "util을 왜 provider에 썼어요?"라는 질문에 전혀 답변하지 못했던 아쉬운 기억이 있습니다. provider에 대한 기본 개념이 부족했기 때문에 그렇게 작성했을테고, 그 이유 따윈 없었으니까요.. (이렇게 개발하시면 안 됩니다..) 모든 코드에는 나름의 이유가 있어야 되는 법입니다. provider [공급자]에 대해서 몰랐기 때문에 한 잘못을 pro..

NestJS 2022.12.13

[nestjs] URL 유효성 검사를 Middleware 에서 하는 방법

안녕하세요. 오늘은 API 요청이 왔을 때 request의 URL 유효성 검사를 Middleware에서 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이번 업무 중에 제 프로젝트 관련한 요청받은 것이 하나 있었습니다. 그것은 바로 '유효성 검사를 Middleware 단에서 처리하도록 정리해달라' 에요. 서비스 단이나 컨트롤러 단에 여기저기 흩뿌려져 있던 유효성 검사 코드가 지저분해 보였던 것이죠... 여차저차 코드 정리를 마무리하던 와중 제 기준 머리 아픈 문제가 발생했는데요. 그것은 바로 다른 유효성 검증과 다르게 API 요청으로 들어온 URL의 유효성은 어떻게 middleware에서 구현하느냐입니다. 여기서 제가 발견한 해결책은 Guard의 canActivate() function에서 request 정보에 들어있는 U..

NestJS 2022.12.06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