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안녕하세요.
오늘은 업무 중에 배열 비구조화 할당이라는 좋은 방법을 알게 되어 소개하고자 합니다.
배열 비구조화 할당이란, 공식적인 표현으로는 배열이나 객체의 속성을 해체하여 그 값을 개별 변수에 담을 수 있게 하는 JavaScript 표현식입니다.
쉽게 말하자면, 배열의 내용을 한번에 여러 개의 변수에 할당시키는 편리한 방법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예시를 한번 볼까요?
const [a, b, ...rest] = [10, 20, 30, 40, 50];
console.log(a);
// expected output: 10
console.log(b);
// expected output: 20
console.log(rest);
// expected output: Array [30,40,50]
위의 예시와 같이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주로 아래와 같은 경우 사용하게 됩니다!
- 파일을 이름, 확장자로 나누어 변수에 할당하는 경우
- 파일 경로를 디렉터리 별 나누어 변수에 할당하는 경우
- 2중 배열 변수를 순회하는 경우 (주로 Object의 entries 함수와 같이 사용하기도 합니다.)
const tempObject = {
a: 10,
b: 20,
c: 30
};
Object.entries(tempObject).forEach(([key, value]) => {
console.log(key, value)
// expected result
// a, 10
// b, 20
// c, 30
})
배열 비구조화 할당 기능을 통해 좀 더 클린한 코드를 작성해보세요!
감사합니다 :)
728x90
'JS & TS' 카테고리의 다른 글
[TypeScript] Type 스크립트의 기본형에 대해 알아봅시다. (1) | 2023.03.14 |
---|---|
[javascript] 배열 검사를 한번에, every와 some함수를 알아봅시다. (2) | 2022.12.09 |
[javascript] Java Script 의 비동기 처리에 대해 알아봅시다 (0) | 2022.12.05 |